
리플(XRP) 가격이 지난 14일(현지시간) 하루 만에 9% 이상 급락하며 2.30달러(약 3,002원) 아래로 떨어졌다. 미국 나스닥에서 첫 현물 ETF가 출시되면서 기대감이 고조됐으나, 상장 직후 ‘뉴스에 팔라(sell the news)’라는 속설처럼 오히려 하락세를 겪게 되었다.
이번 하락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급락과 연관되어 있으며, 하루 만에 2,000억 달러(약 260조 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음을 보여준다. XRP 역시 이러한 시장 상황에 영향을 받았다. 다만 리플 ETF 상장 전부터 고래 투자자들의 매도 움직임이 감지된 점은 단순한 시장 연동 하락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반대하지 않은 가운데 캐너리 캐피탈의 ‘XRPC ETF’가 공식적으로 나스닥에 상장되었다. 이 ETF는 XRP 자산에 100% 연동되며, 첫날의 거래량은 솔라나(SOL) ETF의 역대 거래량 기록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성과는 기대 이상의 결과로 평가되었으나, 그 이면에는 매도 압력이 작용하고 있었다.
실제 체인상 데이터에 따르면, 리플(XRP)이 바이낸스 거래소로 대량 유입되면서 매도 전환 신호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고래 지갑에서 거래소로 자금을 이동한다는 것은 매도를 준비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최근 한 달간 약 14억 개의 XRP가 고래 지갑에서 유출된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매도 압력은 단기적으로 시장에 압력을 가할 뿐 아니라, 소액 투자자들이 하락을 우려하여 동반 매도에 나서는 연쇄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거래모델들이 이와 같은 시장 반응을 예견하며, ETF 상장 자체가 단기적인 상승세보다는 하락으로 이어질 것임을 경고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리플은 ETF 상장이라는 이슈가 기대만큼의 긍정적인 모멘텀을 제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투자자들의 실망으로 이어졌다. XRP 가격은 전날 2.52달러(약 3,288원)에서 2.28달러(약 2,975원)로 급락했다. 그러나 과거 지지선 역할을 했던 2.20달러(약 2,860원) 부근에서 매수 벽이 형성되고 있어, 반등의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ETF 출시는 분명히 리플 프로젝트에 있어 상징적인 이정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은 냉정한 모습이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실적보다는 투자자들의 심리에 가져다주는 파장이 크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사례로 남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