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 가격이 9만 5,000달러(약 1억 2,807만 원)로 하락하며 반년 전과 같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하락세는 최근 스트레티지(Strategy)에서 발생한 대규모 트랜잭션을 둘러싼 매도설이 투자 심리를 흔들면서 나타났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 기준으로 이날 비트코인은 최소 9만 5,500달러(약 1억 2,870만 원)까지 떨어졌으며, 지난 3일간 1만 달러 이상의 급락을 경험했다. 이로 인해 하루 기준 청산 규모는 12억 달러(약 1조 6,128억 원)가 되었고, 약 26만 명의 트레이더가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비트코인 롱 포지션이 집중적으로 청산되며 낙폭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의 하락 원인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으나,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스트레티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을 매도했다는 루머가 급속히 확산됐다. 이러한 루머는 X(옛 트위터)에서 한 이용자의 주장으로 시작되었으며, 해당 계정은 과거 근거 없는 주장을 반복해 온 경향이 있으나, 팔로워 수 55만 명을 넘는 분석계정 ‘크립토 토니’ 등의 공유로 인해 크게 확산되었다.
이후 온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이와 관련해 긍정적인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룩온체인은 해당 비트코인의 이동이 5.8억 달러 규모의 지갑 재배치였으며, 실제로 외부 매도와는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약 5만 8,915 BTC(약 55억 7,077만 달러, 약 7조 5,560억 원)가 새 지갑으로 이동된 사실을 발표하며, 이는 보관 목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스트레티지 공동 창립자 또한 회사의 비트코인 매도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과거에 “회사가 비트코인을 절대 매도하지 않을 것”이라며, 실제로 지난 1년 동안 지속적으로 BTC를 매입해 현재 보유량이 64만 1,000 BTC를 넘어섰음을 알렸다.
이번 가격 급등락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 법안에 서명함에 따라 비트코인이 일시적으로 10만 4,000달러(약 1억 3,989만 원)까지 반등한 상태에서 발생했다. 이는 일시적인 매수세가 소진되면서 발생한 기술적 조정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투매 루머가 진정된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여전히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시장 신뢰의 회복 여부가 향후 가격 흐름을 좌우할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신중하게 시장을 관찰하며, 향후 변동성에 대비해야 할 시점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