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95,000달러(약 1억 2,828만 원) 선을 하회하면서 시장은 다시 한번 ‘미국발 매도 압력’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번 하락세는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구조적인 하락으로 분석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의 데이터 분석 업체 XWIN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가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코인베이스에서 비트코인이 글로벌 평균가보다 낮게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미국 투자자들이 해외 투자자들에 비해 더 많은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실제로 아시아 및 유럽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반등세를 보이다가 미국장이 개장하면 다시 하락세를 보이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 하락은 단기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장기 보유자들까지 ‘연말 이익 실현’을 위해 매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6개월에서 7년 이상 비트코인을 보유해 온 장기 투자자들이 대거 수익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분석가 윌 클레멘테와 피델리티는 미국 투자자들이 2025년 세금 보고를 준비하며 포지션을 정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매도가 세금 최적화를 위한 전략임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연방 정부 일시적 폐쇄 사태도 시장의 유동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의 지출이 정지되면서 수천억 달러가 유출되는 유동성 압박이 가중되었고, 이에 따라 시장이 기대하던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도 줄어들면서 주식은 물론 암호화폐 및 관련 기업의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장 심리 역시 크게 악화됐다. 분석가 MorenoDV_에 따르면, 단기 보유자의 시장가 대비 실현가 비율(MVRV)이 0.9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이는 대규모 가격 저점이 형성되던 시점에서 관측되던 수치다. 이 비율이 1 이하로 떨어지면 최근에 매수한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고 있음을 의미하며, 0.9 아래로 추가 하락할 경우 마지막 매도세가 촉발되어 새로운 바닥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비트코인의 주요 지지선은 95,900달러(약 1억 2,943만 원) 부근이다. 이 지점이 무너지면 다음 지지선인 82,000달러(약 1억 1,052만 원)까지 빠른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이번 주 초 107,000달러(약 1억 4,436만 원) 저항선을 돌파하는 데 실패하며 새로운 추세 전환이 좌절된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은 현재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다.
비관적인 전망이 지속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이번 매도세를 ‘계절적 요인’으로 해석하고 있다. 세금 정리, 유동성 회복 기대, 정책 불확실성 해소 등이 맞물릴 경우 반등의 가능성을 제시할수도 있다. 그러나 당분간 시장은 미국의 변동성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므로 신중한 투자 접근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