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자산운용사 카나리(Canary)가 11월 13일에 출시한 XRP 상장지수펀드(ETF)가 거래 시작 30분 만에 2,600만 달러, 즉 약 347억 원에 달하는 거래량을 기록하여 시장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ETF의 이름은 ‘XRPC’로, 개장 직후 대중의 관심 속에 예상보다 높은 성과를 보였다. 블룸버그의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최신 거래량을 발표하며, 당초 예상치였던 1,700만 달러(약 227억 원)를 크게 웃도는 결과임을 강조했다.
현재 XRPC는 주당 26.54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개장 초기 약 100만 주가 활발하게 거래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기 성공이 출시 전부터의 마케팅 전략과 높은 기대감에 기인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XRP ETF의 흥행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다시 한번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는 신호로 여겨진다.
반면, 시바이누(SHIB) 코인은 긴 횡보세를 끝내고 1.3% 하락하면서 0.000009771달러의 가격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심리적 지지선인 0.00001달러를 하회한 시바이누는 지난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새로운 ‘0’을 추가했다. 업계에서는 시바이누의 저변동성과 수요 부족이 다른 밈코인들과의 경쟁에서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현재 기술적 회복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더하여 체코 중앙은행(CNB)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의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이 실험적인 포트폴리오는 100만 달러(약 13억 3,000만 원) 상당으로, 비트코인 및 미 달러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그리고 토큰화된 달러 예금 형태의 자산을 포함하고 있다. 중앙은행 측은 이 자산들이 그들의 외환보유액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번 조치는 교육 및 실험 목적의 ‘샌드박스’ 테스트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
체코의 이번 실험은 유럽연합 차원에서 중앙은행이 암호자산에 본격적으로 접근한 첫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금융 시스템의 토큰화 및 디지털 결제 확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풀이된다. 카나리의 XRP ETF 흥행, 시바이누의 가격 하락, 그리고 중앙은행의 암호자산 실험은 현재 암호화폐 시장이 단순한 투기를 넘어 제도권 금융과의 접점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자산별 흐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