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급락하여 94,000달러(약 1억 2,786만 원)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파생상품 시장에 심각한 청산 압력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하루 동안 약 2억 6,807만 달러(약 3,645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되었으며, 이는 지나치게 매수에 치우친 상태를 반영하는 ‘512.73% 리퀴데이션 불균형’ 수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조정은 최근 XRP 현물 ETF 출시로 인해 생겼던 시장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촉발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은 ETF 출시 전까지 10만 달러(약 1억 3,600만 원) 돌파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이후 강한 매도 압박으로 인해 고점 대비 6,000달러 이상 하락한 상황이다. 코인글래스(CoinGlass)의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비트코인 관련 파생상품 시장에서 총 3억 1,000만 달러(약 4,212억 원) 이상의 청산이 발생했으며, 이 중 약 86%는 롱 포지션이었다.
청산 불균형이 500%를 넘긴 것은 비트코인을 추가 상승할 것이라 믿었던 투자자들의 과도한 베팅이 역풍을 맞았음을 나타낸다. 많은 투자자들이 10만 달러 돌파를 낙관적으로 보고 레버리지 거래를 통해 포지션을 확대했으나, 가격이 급락하면서 반대매매가 확산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94,00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기술적 지지선인 83,000달러(약 1억 1,288만 원)로의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장의 불안 심리는 커지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 활동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한 스트레티지(Strategy)는 최근에도 신규 자산을 매입한 것으로 전해져 향후 시장 반등의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렇듯 기관 투자가들의 지속적인 매수는 비트코인 시장의 회복 가능성을 제고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파생상품 시장의 청산 압력과 투자 심리의 약화가 가격을 더 압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시장 동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현재 상황을 주의 깊게 파악해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