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와이즈(Bitwise) 최고경영자 헌터 호슬리(Hunter Horsley)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해 언급하며, 비트코인(BTC)의 4년 주기론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의 출시와 변화하는 규제 환경 덕분에 시장이 성숙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호슬리는 17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서 “비트코인 ETF의 출범과 함께 새로운 행정부의 등장 이후, 시장은 전혀 새로운 구조로 진입했다”며 “이제는 새로운 참여자와 다양한 매매 동기, 그리고 변화된 역학이 시장을 지배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장기적인 펀더멘털은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미국 내 규제 태도의 변화가 기존의 시장 주기론을 무력화했다고 지적했다. 과거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한 4년 주기의 상승과 하락 과정이 반복되었으나, 최근 제도권 자금의 유입으로 더 복잡하고 지속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비트코인 ETF와 같은 제도권 금융 제품이 등장하면서 투자 접근성을 높이고,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10월과 11월의 가격 조정 이후 일부 투자 심리가 위축되기도 했으나, 호슬리는 이러한 변동성 속에서도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 ETF와 같은 서비스가 새로운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제도권 편입 노력은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이루어진 친 크립토 규제 강화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슬리는 비트코인을 ‘미국의 전략 자산’으로 평가하면서 디지털 자산 산업의 육성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호슬리의 발언은 단기적인 가격 흐름보다는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연결이 점점 강화되며 새로운 공급과 수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이 과거와는 다른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은 더 혁신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암호화폐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