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클 버리 사이언자산운용 창업자가 인공지능(AI) 거품론을 주장하며 헤지펀드를 사실상 청산한 가운데, 시장 과열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다. 버리는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투자자로, 최근 시장 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13일(현지 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사이언자산운용이 10일자로 투자자문사로서의 지위를 해제했다고 밝혔다. 자산운용 규모가 1억 달러 이상인 투자자문사는 SEC에 등록하고 정기적으로 운영 현황을 보고해야 하지만, 운용 규모가 이 기준을 밑돌 경우 신고 의무가 사라진다. 이에 따라 사이언자산운용의 운용 자산이 기준 이하로 줄어들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버리는 AI 거품이 지속 가능성에 대한 경고와 함께 1990년대 말의 닷컴 버블에 비유하며 시장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뉴욕 증시는 강세를 이어가며 버리의 공매도 투자 전략이 손실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이언자산운용은 올 1분기 말 기준으로 약 1억5500만 달러를 운용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그 기준을 밑돌았던 것으로 보인다.
버리는 자신의 엑스(X) 계정을 통해 사이언자산운용의 등록 해제 소식을 알리며 “11월 25일 더 좋은 일이 기다리고 있다”고 예고하였다. 이는 시장에 대한 의구심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으며, 그가 공식적인 시장 체계에서 벗어나 패밀리오피스 형태로 전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브루노 슈넬러 에를렌캐피털매니지먼트 대표는 벤처 캐피털 환경 속에서 버리가 한 발 물러선 것으로 해석하며, 앞으로는 공식 시스템 밖에서 활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달 초 주요 외신들은 사이언자산운용이 제출한 3분기 보고서를 토대로 버리가 팰런티어 풋옵션을 비롯해 엔비디아 풋옵션을 대규모로 매수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뉴스는 팰런티어와 엔비디아 등 AI 관련 주식의 급락을 초래했으며, 시장 전반에 혼란을 안겼다. 그러나 버리는 팰런티어 풋옵션 매수 금액에 대한 보도를 정정하며 실제 금액은 920만 달러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최근 나스닥 지수는 2.29% 하락하며 2만2870.36으로 마감했으며, 이는 기술주 밸류에이션에 대한 부담과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대표 기술주인 엔비디아(-3.58%), 브로드컴(-4.29%), 테슬라(-6.64%), 팰런티어(-6.53%) 등이 일제히 하락하며 지수의 하락세를 주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