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금융청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자국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105종의 암호화폐를 금융상품거래법 상 금융상품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이 방침은 가상자산에 대한 명확한 성격 규명과 함께 제도권으로의 편입을 통해 시장의 투명성을 증대시키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금융청이 내년 정기국회에 관련 법 개정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가상자산이 금융상품으로 인정받게 되면, 과세 비율이 현재의 잡소득 기준 55%에서 주식 및 펀드와 동일한 20%로 낮아지게 된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인 세금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대신, 금융청은 거래소에 대해 정보 공개 및 내부자 거래 규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특정 암호화폐의 발행 여부, 기술적 기반, 가격 변동 위험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일본은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는 선두 국가 중 하나로, 과거에는 아날로그 중심의 문화가 강했으나 2021년 디지털청을 설치하면서 큰 변화의 시작을 알렸다. 초기에는 가상자산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했지만, ‘마운트곡스’ 거래소의 해킹 사건을 계기로 투자자 보호 조치를 강화하며 제도적 기반을 다져왔다. 2022년에 발표된 ‘가상자산 규제 백서’는 일본의 웹3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다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가상자산 시장의 규제 및 안정적인 제도적 편입이 이루어지면서, 최근에는 일본에서 공식 엔화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인 JPYC가 발행되기도 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대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마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세계적으로 기관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 하버드대학교 기금이 블랙록의 비트코인 ETF인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트러스트(IBIT)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그 한 예다. 최근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하버드는 IBIT의 보유량을 257% 증가시켜 680만 주에 달하게 되었다. 이는 하버드가 세계에서 16번째로 큰 IBIT 대주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기관 투자자의 시장 진출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뱅크 롤링 기간 동안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블랙록의 IBIT와 피델리티의 FBTC에서 큰 규모의 자금이 유출되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일본은 가상자산의 제도적 기반 강화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