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CTO, 크레이그 라이트의 사토시 자처 주장 강력 반박

[email protected]



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가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를 자처하는 크레이그 라이트의 주장을 또다시 정면으로 반박하며, 그의 법적 이해 부족을 지적했다. 크레이그 라이트는 최근 블로그를 통해 이전의 민사재판에서 ‘사기(fraud)’ 판단이 법적으로 무효하며, 그와 관련한 판결도 단순한 의견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그가 비트코인 백서의 저자라는 주장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되었다.

이에 대해 슈워츠는 라이트가 사기의 법적 개념을 전혀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하며, 사기는 높은 형사적 기준이 아니라 명확한 민사적 기준에 기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기에 대한 법원의 논의와 판단이 이미 여러 차례 있었음을 강조하며, 라이트가 허위 정보를 제출하고 일관되지 않은 진술로 재판부를 혼란스럽게 했다는 과거 사례를 재조명했다. 특히 영국 등 여러 법원에서 라이트의 서류가 조작된 것으로 판단한 바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번 논란은 크립토 업계에서는 새로울 것이 없다. 라이트는 비트코인사토시비전(BSV)와 관련한 법적 전략을 지속적으로 내놓으며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 했지만, 판사들은 그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일관되게 판단해왔다. 그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정체성을 주장하는 데 있어서 오히려 자신에게 불리한 서류와 모순된 진술을 남긴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지금까지의 판결이 반복적으로 재인용되고 있어, 이 논란이 법적으로 사실상 종결된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라이트의 주장은 법적 및 논리적 관점에서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온라인 논쟁을 넘어, 크립토 생태계에 대한 사실 기반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리플과 같은 주요 기업이 이러한 왜곡된 주장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리플의 CTO인 데이비드 슈워츠의 비판은 크립토 업계의 기본 원칙과 기준을 지키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사건은 리플과 그 관계자들이 법적 및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며, 크립토 디지털 자산의 신뢰성을 지키기 위해 힘쓰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