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스테이킹 시장, 순유입 1791만 개… 유출 압력 완화

[email protected]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시장이 신규 유입 부진과 출금 급증이라는 이질적인 상황 속에서도 유출 강도가 전주보다 완화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17일 기준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예치된 스테이킹 총량은 3607만8384개에 달하며, 이는 전체 이더리움 유통량의 29.07%에 해당한다.

특히,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 스테이킹의 누적 순유입량은 1451만7193개로 집계됐으며, 보상분을 제외한 순유입량은 1791만2394개에 이른다. 이는 장기적으로 스테이킹 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지난 11일부터 16일까지의 스테이킹 유입량은 총 6469 ETH에 이르며, 일별로 살펴보면 11일 651 ETH, 12일 4332 ETH, 13일 259 ETH, 14일 126 ETH, 15일 1099 ETH, 그리고 16일 2 ETH가 유입됐다. 이러한 흐름은 전체적으로 부진한 상황을 나타내지만, 특히 12일에는 일주일 중 가장 강한 유입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보상 출금의 경우 -1만3441 ETH, 원금 출금은 -25만4073 ETH에 달하며 상당한 이탈 압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원금 출금은 11일에 -14만5855 ETH, 14일에 -2만8864 ETH로 두드러졌다. 다만, 주 후반부로 갈수록 출금 규모가 줄어들어 유출 강도가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모습도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지난 한 주의 순변동량은 -26만1045 ETH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주 -38만1832 ETH에 비해 유출 폭이 뚜렷하게 축소되어 스테이킹 시장의 부담이 완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스테이킹 연 수익률(APR)은 최근 2.94%에서 시작해 12일에는 2.93%, 13일과 14일에는 2.89%로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15일에 2.92%로 반등한 후, 16일과 17일에는 다시 2.88%로 주 후반 약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활성 검증자 수는 100만5573명으로 전주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스테이킹을 새로 시작하려는 입장 대기열(Entry Queue)에는 111만7600 ETH가 대기 중이다. 이 경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19일 10시간으로 산정된다. 반면, 퇴장 대기열(Exit Queue)에는 193만2216 ETH가 대기 중이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33일 13시간에 이른다. 실제 출금을 위한 스윕 지연(Sweep Delay)은 평균 8.7일로 나타났기 때문에, 스테이킹 해제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스테이킹 유형별 점유율에 따르면, 리도가 약 857만9069 ETH로 23.7%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바이낸스가 330만9328 ETH로 9.1%, 코인베이스가 232만8868 ETH로 6.4%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더파이, 피그먼트, 크라켄 등이 뒤를 이어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최근 1개월 기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상위 스테이커는 블록대몬(+4%), 리도(+1%), OKX(+1%)로 나타났으며, 코인베이스(-9%), 크라켄(-3%), 로켓풀(-2%)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이더리움이 2022년 9월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면서 시작된 스테이킹 구조가 불안정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여전히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3년 4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