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은 현재 중요한 기술적 지지선 위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으며, 최근 7일간 11% 이상 하락한 뒤 현재 3,200달러(약 430만 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2,875달러(약 387만 원)를 새로운 분기점으로 주목하고 있으며, 이 가격을 방어할 경우 이더리움이 5,000달러(약 671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는 랠리의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 가격대는 0.382 피보나치 되돌림 및 아직 테스트되지 않은 ‘페어밸류갭(FVG)’와 겹치는 중요한 기술적 수준으로 여겨진다.
만약 이 2,875달러 지지선 이하로 이탈할 경우, 새로운 저점 매수 구간은 2,250~2,620달러(약 301만~352만 원)로 예상되며,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매집 기회로 활용될 수 있는 구간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시장에서는 3,100~3,200달러(약 416만~430만 원)가 단기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만약 이 지역의 지지가 유지된다면 구조적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다안 크립토 트레이드는 이더리움이 현재 0.618 피보나치 되돌림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다음 주요 레벨로는 2,800달러(약 376만 원)가 있으며, 가격이 3,650달러(약 490만 원)를 넘어설 경우 강세 회복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테드 트레이더는 최근 이더리움이 3,000달러(약 403만 원)를 다시 테스트한 후 반등했으며, 3,500달러를 재돌파할 경우 매수 심리가 강화될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나 재돌파에 실패할 경우 3,000달러 이하로 하락할 위험이 존재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이더리움은 현재 1년 넘게 저항으로 작용했던 50주 이동평균선(3,200~3,500달러) 아래에서 시험 중이며, 이는 기술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구간이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의 네트워크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은 ‘트러스트리스 매니페스토’를 발표하며 탈중앙화 및 자체 보관 지갑의 채택을 강조하려 했다. 기업 측면에서는 샤프링크 게이밍이 이더리움을 활용한 전략으로 3분기 매출을 전년 대비 1,100%나 끌어올렸고, 수익은 1억 400만 달러(약 1,397억 원)에 달한다고 전해진다.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 또한 주목할 만하다. 전 비트맥스 대표 아서 헤이즈는 최근 1,480 ETH를 매도하여 470만 달러(약 63억 원)를 현금화했다. 그러나 과거 그가 낮은 가격에 매도한 후 고점에서 재매수한 전례를 통해 항상 정확한 판단을 내린다고는 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이처럼 이더리움은 기술적 분석과 펀더멘털 양측에서 중대한 변곡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2,875달러 지지선의 방어 여부와 3,500달러의 회복 시도가 단기 흐름의 결정적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