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이 AI 인프라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약 120억 달러, 즉 17조 6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한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채권 발행은 아마존이 2022년 11월 이후 3년 만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 관련 인프라 투자에 대규모로 자금을 투입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여겨진다.
아마존은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기업 인수나 자본 지출, 그리고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AI 인프라 구축에 자금의 상당 부분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현재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에서 1위에 위치하고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와 구글 클라우드와의 치열한 경쟁은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마존의 내년 자본지출이 147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2023년에 비해 세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아마존은 또한 최근 오픈AI와 엔비디아 GPU를 활용한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여 AI 관련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AI 관련 투자 확대는 아마존뿐만 아니라 전체 빅테크 기업들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글 모기업 알파벳과 메타도 각각 250억 달러와 3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오라클조차 180억 달러를 추가로 발행하는 등, AI 분야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겁다.
JP모건체이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미국 ‘투자등급(IG)’ 채권시장 규모는 사상 최대인 1조 8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2020년의 이전 기록인 1조 7600억 달러를 넘어서는 규모다. 기술 기업의 채권 발행 역시 올해보다 61% 증가한 25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시장 애널리스트들은 이러한 과열된 차입 경향이 채권 시장의 포화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유명 투자자 마이클 버리는 현재의 AI 투자 열기가 1990년대 말의 닷컴버블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AI 거품론을 제기하고 있다. 그는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해 큰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진 공매도 투자자다.
결론적으로, 아마존을 포함한 대형 정보기술 기업들의 대규모 AI 투자와 관련된 채권 발행은 향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