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1월 18일,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9만 달러를 하회하며 약세 흐름을 보였다. 이와 함께 주요 알트코인들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된 모습이다. 이날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5.97% 하락하여 89,529달러에 거래되었고, 이더리움은 6.48% 하락한 2,985.78달러로 팔렸다. 리플은 5.23% 하락, BNB는 3.08%, 솔라나는 3.95%, 도지코인은 4.77%, 그리고 카르다노는 6.74%의 하락폭을 보였다.
이러한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전체 거래량은 2,334억 달러로 활발한 흐름을 유지했다. 하지만 디파이 거래량은 194억 달러로 23.16% 감소한 반면,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전일 대비 44% 증가하여 2,152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 같은 현상은 유동성이 스테이블코인으로 일부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추가로,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거래량은 1조 9,259억 달러로 34.97% 증가하며 변동성에 대응하는 수요가 커진 상황이다.
동기간 동안 약 2억 650만 달러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되었으며, 이 중 70% 이상이 롱 포지션이었다. 특히 하이퍼리퀴드, 바이비트, 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에서는 롱 청산 비율이 78~98%에 달했다. 비트코인 관련 청산액은 5억 6,369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더리움은 1억 7,582만 달러, 지캐시(ZEC), 리플, 유니스왑, 도지코인 등이 뒤를 이었다.
정책 및 정치적 이슈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에서 각각 3,664억 원과 2,678억 원 규모의 순유출이 발생,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압박을 주었다. 게다가 마운트곡스는 약 9.37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콜드월렛으로 이체하며 시장에 추가적인 불안을 안겼고, 갤럭시디지털은 1억 3천만 달러 규모의 BTC를 코인베이스 프라임에 입금하였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현재 과매도 상태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오며, 상대 강도 지수(RSI)가 30 이하로 떨어져 단기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업비트와 빗썸은 메테오라(MET 및 MET2) 코인을 상장했으며, 바이낸스는 3종의 선물 상품 상폐를 예고하였다. 제미니 창립자와 메타플래닛 CEO는 비트코인을 매수할 기회로 평가하며 장기적인 투자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피터 시프는 비트코인을 ‘망상’이라고 꼬집으며 회의적인 의견을 전하고 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불확실성과 함께 위축된 투자 심리 속에서 어떻게 변동할지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이러한 동향을 신중히 분석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