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개최된 ‘D-CON 2025’ 행사에서 여야의 젊은 정치인들이 모여 2030 세대의 가상자산 투자 열풍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두나무의 김형년 부회장과 의원들은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가상자산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부동산은 더 이상 2030 세대가 진입하기 힘든 ‘넘사벽’이 되어버렸고, 이에 비해 가상자산은 소액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 희망의 사다리”라고 말했다. 황 의원은 부동산의 진입 장벽이 높은 반면, 디지털자산은 기술 친화적인 젊은 세대가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어,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은 “있는 자산의 차이를 해소하는 데 있어 코인이 미래의 대체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대선 이후 글로벌 금융 패권의 변화에 대한 우려도 표명됐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트럼프 정부의 친가상자산 정책은 미국 달러의 패권을 방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지적하며,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의 99%가 달러 기반으로, 이는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도 달러의 지배력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는 한국도 이러한 금융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은 남미의 사례를 들어 가상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를 설명했다. 그는 “아르헨티나와 같은 고인플레이션 국가에서는 이제 집 앞에 벽돌이 아닌 ‘테더(USDT)’ 같은 스테이블코인으로 자산을 저장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변화에 맞춰 각국은 맞춤형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대담에서 청년 정치인들은 가상자산이 단순한 투기가 아닌,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금융 도구로 자리잡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면서, 향후 가상자산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2030 세대가 지닌 생존 본능이 코인 투자로 이어지는 현재, 이는 사회적 필요에 의해 더욱 촉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