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외무부의 세르게이 랴브코프 차관이 북한과의 군사협력에 대해 한국을 포함한 어떠한 나라에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랴브코프 차관은 19일(현지시간) 러시아 정책 연구센터의 인터뷰에서 “현재 우리는 북한과 군사 및 전략적 동맹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북한과의 군사기술 협력이 국내법과 국제적 의무를 철저히 준수하며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으로부터의 제재로 인해 북한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작년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체결한 포괄적 전범위 동반자 관계 협정에 따라 군사적으로 더욱 밀착하고 있다. 이 협정은 양국 간의 군사기술 협력을 심화하는 기반이 되고 있으며, 러시아는 작년 8월 북한 파병군의 도움을 받아 쿠르스크 지역의 탈환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이 지역에서 북한 공병들이 러시아군과 함께 지뢰 제거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러시아 외무부는 이러한 군사적 관계가 지역 안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북한과 러시아 간의 군사적 유대관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한국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정부는 북한과의 군사적 연대가 동북아시아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를 더욱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러시아의 입장은 군사적인 측면 외에도 정치적, 외교적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결국,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은 북한과 러시아 간의 관계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국제정치 및 안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