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11월에도 대출우대금리(LPR)를 기존 수준으로 유지하며 6개월 연속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갔다. 1년물 LPR은 3.0%, 5년물은 3.5%로 통일된 수준이며, 이는 금융 시장의 예상과 일치하는 수치로 평가받고 있다. 로이터통신의 조사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 23명 전원이 두 금리가 모두 동결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LPR은 중국에서 신규 및 기존 대출금리에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지표로, 1년물 LPR은 대부분 대출금리에 적용되며, 5년물은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산정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LPR의 동결 여부는 금융 시장과 기업의 대출 조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장에서는 중국 정부가 금리 인하를 조기에 시행할 필요성이 줄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금융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이 발표한 3분기 통화정책보고서에서 ‘역경기 대응(cross-cyclical)’ 정책의 조정을 다시 언급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OCBC은행의 아시아 거시경제 책임자인 토미 셰는 이 용어가 금리 인하 압력의 긴급성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하며, 정책의 초점이 전반적인 금리 인하에서 선별적이고 목표에 맞춘 신용 지원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역경기 대응 정책은 경기 사이클의 전반을 감안하여 변동성을 줄이는 안정적인 정책 기조를 지향한다. 이를 통해 경기가 긍정적일 때는 과열을 방지하고, 경제가 침체할 때는 과도한 부양을 피하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최근 전반적인 금리 수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도 형성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10월 신규 기업대출의 가중평균 금리는 3.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40bp(1bp는 0.01% 포인트) 하락하였다. 신화통신은 올해 동안 중국의 사회금융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대출 금리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은 향후 중국의 경제 정책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저조한 성장률에 대한 우려와 함께, 금리 동결은 정부가 경기 부양의 필요성을 다시금 검토할 시간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