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노점상 식자재에 대한 단속 과정에서 보건당국 검사관이 표백제를 사용한 사건이 발생해 큰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사건은 지난 주말 콜로라도 덴버에서 타코를 판매하는 노점상에서 발생했으며, 이 노점상은 무허가 영업과 공중보건 위반으로 여러 차례 단속을 받은 경력이 있다. 보건부 소속의 식품 안전 검사관들이 영업 중단 명령을 이행하기 위해 출동했으나, 노점상 주인은 요구받은 음식물 폐기를 무시하고 재료를 트럭에 옮기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 검사관이 남은 음식물에 표백제를 붓자 해당 장면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되었고, 이를 두고 과잉 단속이라는 비난과 함께 반응이 갈리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극단적인 대응이라고 지적하며 해당 검사관의 해고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었으나, 사건의 진상이 알려지면서 여론이 서서히 변화하게 된다.
덴버 공중보건환경국(DDPHE)은 노점상이 여러 차례 당국의 폐기 명령을 따르지 않았고, 비위생적인 상황에서 영업을 강행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노점상은 오염된 물로 손을 씻고 고기를 상온에 보관하는 등 심각한 위생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트라우마를 고려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DDPHE는 일이 이 지경에 이른 것은 고객의 건강을 우선적으로 생각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일부 누리꾼들은 이 사건을 두고 인종차별적 단속이라는 지적도 포함되어 있지만, 보건 당국은 해당 검사관이 라틴계라는 점을 들어 인종차별 논란에 선을 그었다. 덴버 공중보건환경국은 단속 시 표백제와 같은 첨가물의 사용은 질병 예방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일반적인 공중 보건 관행에 해당한다고 명확히 했다.
사건이 알려진 후,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이 조치는 매우 적절했다. 수백 명의 건강을 지킨 것”이라며 검사관의 행동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증가하고 예정이다. 무면허 식품 판매업체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영업을 통해 소비자에게 위험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정부의 공중 보건 정책과 소비자 보호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으며, 추후 유사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엄격한 기준이 마련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보건당국은 해당 사건을 통해 앞으로도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조사를 जारी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