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도 공인회계사 최소선발인원 1150명으로 축소…업계 반발

[email protected]



금융위원회가 21일 공인회계사 자격·징계위원회를 개최하고, 2026년 공인회계사 최소선발 인원을 1150명으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작년 1200명에서 50명 감축한 수치로, 공인회계사 선발 인원이 두 년 연속 감소한 것이다. 지난해에는 선발인원을 1250명에서 1200명으로 줄였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선발인원 축소 배경으로 미채용 합격생의 누적, 회계법인의 매출 및 수익 정체, 비회계법인에서의 회계사 채용 수요, 그리고 수험생들의 예측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특히, 최종 합격 후 수습기관에 배정받지 못한 회계사들이 대거 누적된 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실무 수습기관의 확대와 같은 수습 관련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한국공인회계사회 등과 협력하여 내년 상반기 중 구체적인 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러한 결정이 현장 수요와 맞지 않는다는 반발이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외부 수요를 감안하더라도, 실제로 수습을 거친 회계사가 필요한 비율이 높아 빅4 회계법돈에서 수습 기간을 거친 인력을 요구하는 만큼 실질적인 수요와 괴리가 크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번 선발 규모 확정을 앞두고 지난 12일, 청년공인회계사회 등 수백 명의 미지정 회계사들은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선발인원 조정과 수습 인프라 확충을 촉구했다. 그들은 현재 592명이 수습기관을 배정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선발 규모의 정상화와 수습 기반의 강화를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의 목소리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으며, 공인회계사 선발 규모를 놓고 정부와 업계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업계는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선발 규모를 정상화하고, 수습 인프라 정책을 재정비할 필요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업계 전반에 퍼져 있으며, 정부에 대한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