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수 주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일주일 동안 2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이 거래소로 대규모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움직임은 주로 고래 투자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차익 실현 또는 향후 추가 하락에 대비한 매도 물량을 쏟아낸 것으로 분석된다.
온체인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는 11월 22일 “최근 1주일 동안 약 2만 개의 비트코인이 중앙화된 거래소로 유입되었으며, 이는 현재 시세 기준으로 약 20억 달러, 즉 약 2조 6,950억 원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대규모의 유입은 시장에 큰 변동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며, 특히 가격 하락 국면에서는 매도 압력의 신호로 해석된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10월 대폭락 이후 아직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최근에는 8만 2,000달러, 즉 약 1억 1,043만 원 수준까지 하락하였다. 이는 지난 4월 이후 처음으로 재돌파한 바닥 지지선으로, 이 가격대에서의 지속적인 하락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경각심을 주고 있다. 많은 분석가들은 이러한 약세 흐름이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 매도세의 배경には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이 크다. 세계 최대의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최근 5일 만에 10억 달러, 즉 약 1조 3,475억 원에 해당하는 비트코인을 거래소로 이동시킨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시장에서는 이를 대량 매도로 해석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자산운용사 또한 수천 개의 비트코인을 매도한 정황이 포착되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거래 흐름은 단순한 차익 실현에 그치지 않으며, 비트코인이 이미 ‘베어마켓’(약세장)에 진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고래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지속될 경우, 향후 비트코인 가격은 더욱 깊은 조정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결국, 단기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매도 압력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변동성이 큰 시장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반등을 기대하려면 고래들의 매도세가 완화되고, 시장 내 유동성 긴장감이 해소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전략 수립에 신중을 기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