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홍콩 당국은 일본과의 공식 교류 행사들을 잇달아 취소하며, 중국 본토가 시행 중인 ‘한일령'(限日令)과 유사한 분위기를 따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홍콩 정부는 일본 총영사와의 회의를 취소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이는 다음달 초로 예정되어 있었던 미우라 준 일본 총영사와의 고위 관료 간 회의에 해당한다.
또한, 예정되어 있던 일본 총영사관 주최의 행사에 초청된 홍콩 경찰 고위 간부가 참석을 철회한 것도 보고되었다. 홍콩 정부 산하 투자유치 기관인 인베스트HK는 일본과의 기업 간 교류를 위해 계획했던 행사도 사실상 취소된 상황이다. 이러한 홍콩의 행보는 본토 중국의 ‘한일령’과도 맥을 같이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가 최근 일본 중의원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한 이후, 중국은 일본과의 경제 및 문화 교류를 중단하고, 일본 여행과 유학 자제령을 발효하는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홍콩도 일본 애니메이션 ‘일하는 세포들’ 시즌2의 방영을 중단하고, 일본에서 발생한 중국 국적자에 대한 공격 사건 증가를 이유로 시민들에게 일본 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이외에도 홍콩 항공사들은 일본행 비행기를 예약한 승객들에게 여행 계획 변경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홍콩 교육국은 안전상의 이유로 일본 정부가 주최하는 청소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는 일본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와 관련해 중일관계가 급격히 악화한 2012년과는 다르게, 중국 본토의 통제가 강화된 후 홍콩이 더욱 본토와 통합되는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결국, 홍콩의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중국 정부의 지침 및 분위기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한중일 간의 관계에서도 국가 간 긴장이 미치는 영향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서, 향후 양측 간의 교류와 통상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