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우크라이나, 간소화된 평화 계획 재합의…트럼프도 긍정적 반응

[email protected]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협상에서 기존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종전안의 내용을 19개 항목으로 간소화한 새로운 평화 구상안을 도출했다.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의 입장도 일부 반영되었으며, 양국은 모두 이러한 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영토 양보와 같은 핵심 쟁점은 두 나라 대통령이 직접 결정할 사항으로 미뤄졌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수정된 평화 구상안 초안은 우크라이나 군의 규모를 80만 명으로 설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기존의 60만 명 제한에서 한층 완화된 조치로 평가된다.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추가 확장과 관련된 표현도 더욱 부드럽게 수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상에 참석한 세르히 키슬리차 우크라이나 외무부 제1차관은 인터뷰에서 양국이 모두 긍정적으로 느낄 만한 수준의 수정안이 나왔다고 강조하며, 수정 폭이 상당하다고 전했다. 단, 영토 양보와 같은 민감한 주제는 아직 ‘미완’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이 부분은 두 정상의 협상에서 다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기존의 종전안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동부 돈바스 지역 일부를 러시아에 양보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던 만큼, 이의 논의는 더욱 복잡할 수 있다.

키슬리차 차관은 이러한 영토 문제와 NATO 관련 논쟁 사항을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결론을 내리도록 범주화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영상 연설을 통해 새로운 초안에 대해 “매우 올바른 접근 방식”이라며, 민감한 사안들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논의를 통해 해결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평화협상에서 큰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믿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긍정적인 사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적었다. 이에 따라 트럼프와 젤렌스키 두 정상의 직접 담판이 언제 열릴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이르면 이번 주에 일어날 수 있다고 하지만, 백악관 대변인은 아직 예정된 일정은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입장을 우선적으로 정리한 후 러시아 측과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크렘린궁은 수정된 종전 조건이 담긴 초안을 아직 받아보지 못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WSJ은 미국의 제안이 우크라이나의 우려를 반영할수록 러시아가 이를 수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앞으로의 협상 과정이 더욱 복잡해질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