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랍에미리트(UAE)가 디지털 금융 부문에 대한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며 디파이(DeFi)와 웹3(Web3) 생태계의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예정이다. 오는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새로운 중앙은행법은 암호화폐 플랫폼과 관련 인프라 제공업체도 규제 범위에 포함시켜, 규제 당국의 감독 권한을 한층 강화하게 된다.
UAE의 새로운 법안, ‘연방법령 6호(Federal Decree Law No. 6 of 2025)’는 이미 2025년 9월 16일 공식 관보에 게재되어 발효된 상태이며, 2026년 9월까지의 유예 기간이 제공된다. 이번 법령은 디파이 프로토콜 및 그에 관련된 미들웨어, 인프라 제공업체가 결제, 거래, 대출, 커스터디 및 투자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중앙은행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리나 히버(Irina Heaver), 현지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이자 네오스리걸(NeosLegal) 설립자는 이번 법 개정이 중동의 암호화폐 산업에 있어 중대한 규제 변화라 평가하며, “디파이와 웹3 활동이 단순히 코드로만 이루어진다는 변명이 이제는 통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법 제62조는 ‘모든 수단, 매체, 기술을 통해’ 허가가 필요한 금융 활동을 운영 또는 중개하는 모든 개인과 조직이 아랍에미리트 중앙은행(CBUAE)의 감독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히버 변호사는 UAE에 진출하거나 이미 운영 중인 프로젝트들이 이번 법령을 중요한 이정표로 인식하고 유예 기간 내에 시스템과 운영 구조를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이처럼 UAE 정부가 유연한 규제 샌드박스 접근을 넘어서 디파이와 웹3 기술을 본격적으로 규제 체계에 포함하려는 이유는 안정적인 산업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향후 해당 법령이 중동 지역의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 미칠 실질적 영향에 대해 관심이 집중된다. UAE가 디파이와 웹3를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로 통합하면서 중동이 단순한 규제 친화적 허브를 넘어, 글로벌 준법 기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려는 의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는 점은 특별히 주목할 만하다.
프로젝트 운영자들은 2026년 9월 이전까지 요구되는 규제 요건과 허가 절차를 철저히 검토해야 하며, 프로토콜 제공자조차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는 UAE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기업이나 조직들에게 중요한 전략적 포인트로 작용할 것이다.
UAE는 디파이 및 웹3 산업의 법적 규제를 통해 풍부한 기회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투자자, 기업, 그리고 소비자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기업들은 반드시 변화하는 규제 환경을 염두에 두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