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디지털 뱅크 클라르나(Klarna)가 최초의 스테이블코인인 ‘클라르나USD(KlarnaUSD)’를 공식 출시하였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 금융 시장을 겨냥하여, 클라르나는 이를 기반으로 핀테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클라르나USD는 미국 달러에 연동된 가상화폐로, 1토큰의 가치는 1달러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안정적인 가격 변동성 덕분에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결제와 금융 거래에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클라르나의 창립자이자 CEO인 세바스찬 시에미아트코프스키는 “암호화폐는 이제 빠르고, 저렴하며 안전한 단계에 도달했다”며 “이번 출시는 클라르나의 암호화폐 영역에서的新 출발”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번 스테이블코인은 스트라이프(Stripe)가 주도하여 구축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템포(Tempo)’ 위에서 운영된다. 템포는 핀테크 및 디지털 결제에 최적화된 인프라로, 스트라이프 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전문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도 이 설계에 참여했다. 클라르나는 템포를 활용하여 기존 금융 시스템의 느리고 비싼 결제망에 도전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올해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이 처리한 결제 규모는 약 9조 달러(약 12,960조 원)로, 이는 지난해 대비 87%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결제 시장 규모가 연간 2경 달러(약 2,880경 원)를 초과하는 가운데, 스테이블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2.3%에 불과하지만 성장 가능성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클라르나는 연간 상품총거래액(GMV) 1,180억 달러(약 169조 9,200억 원), 사용자 수 1억 1,400만 명이 넘는 글로벌 소비자 금융 플랫폼으로 인지도와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시에미아트코프스키 CEO는 “우리는 기존 결제망을 대체할 기술적 기반과 규모를 갖추고 있다”며 “전 세계 결제를 더욱 빠르고 저렴하게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클라르나USD는 소규모 테스트 단계에 있으며, 정식 상용화는 2026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클라르나는 이 토큰이 달러로 100% 보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규제 환경과 기술 발전 속에서 주요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들이 잇따라 진입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페이팔은 2023년 자체 미국 달러 연동 토큰을 출시하였고, 스트라이프는 2024년에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기업 브리지 벤처스(Bridge Ventures)를 인수한 뒤, 자체 발행 플랫폼도 출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성장은 지난해 7월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미국 스테이블코인 혁신촉진법(GENIUS Act)’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법은 디지털 통화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 체계를 최초로 마련하여,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운영을 제도권 내로 통합함으로써 시장의 불확실성을 감소시켰다.
클라르나의 이번 움직임은 스테이블코인이 미래 글로벌 결제 인프라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것임을 보여준다.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서 실물 경제에서 깊이 자리잡는 디지털 자산의 변화를 클라르나가 어떻게 이끌어갈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