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우리는 한 세대 앞서”…구글의 칩 경쟁에 경계하는 모습

[email protected]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엔비디아가 최근 자사 칩이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다고 주장하며, 반도체 독립을 선언한 구글을 견제하는 메시지를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25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 계정을 통해 “모든 AI 모델을 구동하고, 컴퓨팅이 이루어지는 모든 곳에서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우리 플랫폼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구글의 성공을 기쁘게 생각하며, 구글은 AI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뤘다”면서도 “우리는 여전히 구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회사는 또한 자사 제품이 특정한 AI 구조나 기능을 위해 설계된 주문형 반도체(ASIC)보다 뛰어난 성능과 다용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엔비디아의 발언은 구글이 AI 칩 분야에서 위협적인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구글은 이미 10년 전부터 텐서처리장치(TPU)라는 이름의 AI 칩을 개발해왔고, 이 제품이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엔비디아의 GPU를 대신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특히 AI 챗봇 ‘클로드’를 운영하는 앤스로픽도 최근 구글의 TPU 100만 개를 탑재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고무적인 소식은 구글이 최근 7세대 TPU인 ‘아이언우드’를 출시하며, 기존 자사 클라우드를 통해서만 제품을 이용하도록 한 정책을 수정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메타와 협의 중인 계약이 체결된다면 엔비디아에게는 주요 고객인 메타에 대한 영향력이 줄어들고, 구글은 더욱 직접적인 경쟁자로 떠오르게 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구글의 TPU에 대해 “구글은 고객사이며,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도 엔비디아의 기술로 구동된다”며 구글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언급했다. 반면 구글은 공식 성명에서 “맞춤형 TPU와 엔비디아 GPU 모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는 앞으로도 두 가지 선택을 모두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시장에서의 주가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주식은 클래스A 기준으로 1.53% 상승해 323.44달러로 마감된 반면, 엔비디아의 주식은 2.59% 하락하며 177.82달러로 종료됐다. 특히 엔비디아 주식은 장중 한때 6% 이상 하락하기도 했으나, 저가 매수세의 유입으로 낙폭을 일부 줄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