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인터넷 대기업 네이버가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과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합병을 검토하고 있어, 최근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합병 추진이 이사회에서 논의단계에 들어가면서, 시장에서는 두 회사의 협력이 미래 성장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6일 오전 유가증권시장에서 네이버의 주가는 전날 대비 1.19% 상승해 25만6천 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25만5천 원에서 출발한 주가는 한때 25만7천5백 원까지 오르며,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는 합병이 단순한 경영 전략을 넘어 네이버의 수익 구조와 성장 가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장의 인식을 보여준다.
합병 구조로는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와 1대 3의 비율로 주식을 교환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이 경우 두나무의 한 주가 네이버파이낸셜의 세 주와 교환되며, 합병이 최종 확정되면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로 귀속되고, 결과적으로 네이버의 손자회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합병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이사회의 승인과 함께 주주총회의 특별 결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합병이 네이버의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장기적인 메가 핀테크 기업으로의 성장을 도울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삼성증권의 오동환 연구원은 네이버가 두나무를 인수함으로써 업비트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하게 되어, 디파이(탈중앙화 금융)와 스테이블코인 유통 등에서 본격적인 진출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합병 추진 과정에서 도전 과제도 존재한다. 주식 교환 과정에서 네이버의 네이버파이낸셜 지분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나 의결권 위임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전통 금융과 가상자산 사업 분리 정책이 개정될 가능성도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정책 불확실성은 투자자들에게 리스크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2026년 이후 국내 암호화폐 거래 규모의 확대를 전망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정호윤 연구원은 두나무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2026년 각각 22.1%, 24.7%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네이버 전체의 영업이익 증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병이 이루어진다면 네이버는 커머스와 핀테크 분야에서 가상자산을 결합한 융복합 서비스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으며, 토큰증권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네이버가 포털 기업에서 기술 기반 금융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합병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이는 한국 핀테크 산업의 판도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