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이 최근 $2,500(약 368만 원)에서 강한 지지를 받으며 반등에 성공했지만, 전체적인 하락세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가격은 다시 $3,000(약 442만 원)을 시도하고 있으며, 하지만 지속적인 수급 약세와 강한 저항선으로 인해 그 조정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일봉 기준에서 이더리움은 최근 $2,500의 수요 구간에서 반등해 현재 $2,900(약 427만 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번 반등은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지지만, 중장기 이동평균선(100일 및 200일)을 모두 하회하고 있어 전체적인 기술적 구조는 여전히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상승 전환을 위해서는 이더리움이 $3,500(약 515만 원) 이상을 회복하고 이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4시간 차트 분석 결과, $3,000 수급 구간 아래에서는 ‘약세 플래그’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추가적인 하락을 시사하는 패턴으로 해석된다. 현재 가격은 상승에 실패하고 정체 양상이 보이면서 하락 전환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만약 약세 플래그가 하단으로 이탈할 경우 이더리움은 다시 $2,600~$2,500(약 382만~368만 원) 구간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반면, 강한 거래량과 함께 $3,000 돌파에 성공할 경우 단기 목표가 $3,500으로 제시될 수 있다.
한편, 파생상품 시장의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인 미결제약정(Open Interest)도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최근 일주일간 이더리움의 미결제약정은 약 169억 달러(약 24조 8,360억 원)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과도한 레버리지가 청산되어 투기 성향이 줄어들며 시장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펀딩비는 감소하고 있으며, 숏과 롱 모두에서 시장 참여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이와 같은 시장 환경에서는 가격 반등이 단기적인 현상으로 그칠 위험이 크며, 매수자는 주요 저항 구간을 돌파하기 전까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는 “기술적으로 완전한 상승 반전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이더리움의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하며, 지속적인 저항 돌파와 거래량 증가가 함께해야 강한 랠리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