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리비아 정부가 암호화폐와 스테이블코인을 금융 시스템에 정식으로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볼리비아의 금융 시장은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호세 가브리엘 에스피노사 볼리비아 경제장관은 25일(현지시간) 정부가 국가 경제 현대화 계획의 일환으로 디지털 자산을 제도권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은 고객의 암호화폐를 수탁(커스터디)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암호화폐를 활용한 저축 계좌와 대출 상품이 제공될 예정이다. 비록 암호화폐가 명시적으로 법정통화의 지위를 부여받지는 않았으나, 실질적으로 금융거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된 것이다.
에스피노사 장관은 “암호화폐는 전 세계적으로 통제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인정하고 우리의 이익에 맞게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분산형 디지털 자산이 갖는 글로벌 통용성과 기술적 특성을 수용하겠다는 볼리비아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과거 볼리비아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암호화폐 정책을 유지해왔으나, 2014년에는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사용을 전면 금지한 바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을 위한 개방적인 정책으로 급변화하였고, 현재 약 90억 달러 규모의 다자간 차관을 협상 중인 상황에서 디지털 경제 활성화는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여러 국가가 법적 지위를 부여하거나 규제를 정비하여 디지털 자산을 제도화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이번 볼리비아의 결정은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볼리비아의 암호화폐 관련 정책 변화는 국가의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주도의 암호화폐 수용은 특히 인플레이션과 금융 접근성 문제가 심각한 라틴 아메리카에서 정책 전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리비아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디지털 은행 서비스 및 커스터디 서비스 관련 규제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