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에 대해 반도체 및 첨단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투자와 미국 노동자 교육을 요구하는 합의를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26일(현지 시간)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5명의 소식통을 인용하여, 이 합의가 성사될 경우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를 포함한 대만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미국의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기술을 교육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대만의 대미 수출품은 20%의 관세가 부과되어 있으며, 대만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을 통해 관세 인하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대만의 전체 대미 투자 규모는 아시아 경쟁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며, 대만의 기술력을 활용한 워싱턴 사이언스 파크 건설 지원도 합의의 일부로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한국과 일본은 이미 미국과 관세를 25%에서 15%로 줄이는 협정을 맺고, 각각 3500억 달러 및 5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식통은 대만과 미국 간 협상이 언제 마무리될지, 그리고 최종 합의에 어떤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만의 줘룽타이 행정원장(총리)은 26일 타이베이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관한 세부 사항을 확정하기 위해 문서 교환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포럼에서 TSMC가 애리조나주에 구축 중인 반도체 공장에 대해 언급하며, 이러한 복잡한 시설을 운영하기 위해 수천 명의 외국인 전문 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미국의 노동자들에게 컴퓨터 칩 제작 기술을 가르쳐 줄 것이며, 짧은 시간 안에 미국 인력도 숙련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TSMC의 회장인 웨이저자는 올 1월 미국 애리조나에 신규 공장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기술자 부족과 공급망의 문제로 인해 대만과 비교해 최소 두 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대만 간의 관계는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보이며, 대만의 첨단 산업은 미국 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