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트럼프의 중국 자극 자제 요구 보도에 공식 반박

[email protected]



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에게 ‘대만 문제로 중국을 자극하지 말라’고 조언했다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를 공식적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대변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27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주권 문제와 관련해 중국을 도발하지 말라는 요구를 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총리가 10월 28일 양자 정상회담을 가진 시점에서 나온 해당 보도는 많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기하라 장관은 일본 정부의 입장을 명확히 하며, WSJ에 대한 사실 확인 요청을 했다고 덧붙였다. 기하라 장관은 오전 브리핑에서 외교적 관례로 인해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으나, 오후 브리핑에서는 보도 내용을 직접적으로 부인하며 언론의 오해를 바로잡고자 했다.

WSJ은 26일 보도에서 미·일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와의 통화에서 대만 관련 발언의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언급을 했다고 전했으나, 일본 정부 관계자는 NHK에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한 협력 얘기는 있었지만, 자제를 요청한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한 교도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 고조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나 다카이치 총리가 한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철회를 요구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본 내에서는 미국이 동맹국인 일본을 명확히 지지하지 않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가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총리와의 통화를 통해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하라 장관은 또 중국 정부가 일본 내 자국민에게 안전 유의를 당부한 조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였지만, “앞으로도 사실과 다른 중국의 주장에 대해서는 반론을 제기하며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과의 관계 및 지역 안보 문제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보도 사건은 중일 갈등이 미국 외교에서도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각국의 외교적 대응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주목하게 만든다.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반발은 향후 일본과 미국 간의 관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