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은의 수출 실적 해석, 왜 이렇게 다를까?

[email protected]





최근 수출 실적을 두고 정부와 한국은행의 상반된 해석이 제기되면서 시장에 혼선을 주고 있다.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수출이 지난 8월 이후 3개월 연속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반면 한국은행은 3분기 수출 실적이 전 분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고 분석하며, 이는 경제성장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전했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월 수출액은 575억2000만달러로 10월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올해 3분기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3분기 수출이 전 분기 대비 0.4% 감소하였고, 이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8%포인트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두 기관의 해석이 엇갈리는 이유는 수출 실적 집계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통관 기준으로 수출 실적을 집계하는 반면, 한국은행은 실제 수출대금이 국내로 들어오는 시점을 기준으로 잡고 있다. 예를 들어, 통관이 완료된 수출 물량이 있다 하더라도 해당 물량의 대금이 아직 들어오지 않았다면, 한국은행은 이를 수출 실적으로 반영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정부와 한국은행이 인식하는 수출 실적 간의 시차가 발생하게 된다.

비교 시점의 차이도 두 기관의 분석 차이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수출 실적을 직전 분기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반면, 정부는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해 실적을 파악한다. 한국은행의 경우 조업일수와 같은 계절적 요인을 고려하기 위해 계절조정 작업을 하고, 그 결과 3분기 수출 실적이 최종적으로 0.6% 감소했다고 판단했다. 정부는 이러한 계절조정 없이 전년 대비 수치만을 살펴보기에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차이를 바탕으로 두 기관의 수출 통계는 단기적으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정부는 수출 실적 자체의 개선이 중요하지만, 한국은행은 이러한 실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시각에서 수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는 두 기관이 집계하는 통계가 유사한 추세를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결국, 올해 한국은행은 3분기 수출을 부진하게 평가했지만, 다음달 발표될 잠정 GDP 성장률 통계에서는 정부의 수출 실적과 유사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 정부가 발표한 최대 수출 실적은 지난해의 부진한 수출 상황을 반영한 변동성 요인이 크며, 장기적으로는 한국은행의 분석과 유사한 패턴을 보일 것이라는 예측도 존재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