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려아연을 둘러싼 MBK파트너스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가 한국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내고 있다. 9월부터 시작된 MBK파트너스의 공개매수는 국내 대형 기업에 대한 첫 적대적 인수 사례로 기록되며, 고려아연의 지배구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고려아연은 3세 경영 체제로 진입하면서 최윤범 회장의 지분이 15%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다. 이에 MBK파트너스는 기존 대주주인 영풍과 협력해 주식의 매수에 나서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영권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M&A 시도는 전통적인 재벌 체제에 대한 불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MBK파트너스의 인수 시도에 대한 강한 반발이 있었으나, 최 회장 측은 자사주 매입 및 대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경영권 방어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고려아연의 주가는 급락했고, 많은 주주들이 이에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주가가 154만원에서 100만원으로 하락하였으며, 증권업계에서는 MBK파이낸스가 자사주 매입과 더불어 전혀 다른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한 것에 대해 주주를 기만한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 사건은 한국의 재벌 체제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1945년 이후 한국 경제는 재벌 가문에 의해 지배되어 왔으나, 이제는 이러한 구조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재벌 3세가 경영을 이어가는 것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과거 선진 자본주의국가의 사례를 보면 이러한 흐름은 더욱 명확해진다.
앞으로 이러한 경영권 방어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상속세 개편과 배당소득세 정책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기업들이 보다 주주 친화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상속세와 배당소득세 부담을 줄임으로써 주주환원을 늘릴 수 있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기업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게다가 일본의 경우와 같은 강력한 상장폐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투자자의 관심을 얻지 못한 기업은 상장폐지되어야 하며, 이는 건강한 시장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장돼 있지만 투자자에게 외면받는 기업은 과감히 퇴출시키고, 이를 통해 살아남은 기업들은 오히려 질 좋은 경영에 촛점을 맞출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한국의 기업 지배 구조는 재벌가문 중심에서 전문 경영인체제로 점차 이동해 갈 것이며, 이는 앞으로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의 활동 확대와 함께 더욱 명확해질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경영권 변화의 문제를 넘어,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