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융주들이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주가의 큰 하락세를 경험하고 있다. 대표적인 밸류업 수혜주로 불리던 금융주들이 기업 가치 증대 프로그램의 차질로 큰 충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6일 오전 9시 50분 기준으로 KB금융은 전일 대비 600원(0.69%) 상승한 86,400원에 거래되고 있지만, 최근 주가는 낙폭이 심각하다. KB금융의 주가는 지난 이주일 동안 12.80%나 하락하며 10월 25일에는 장중 103,900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급격히 위축된 모습이다.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와 같은 다른 금융지주들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이들은 각각 -10.59%, -4.49%, -4.00%의 하락률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우려는 커지고 있다. 금융주들은 올해 초부터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왔으나, 갑작스러운 정치적 불안 요소가 이를 뒤집는 계기가 됐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정부의 경제 정책 중 하나로, 법인세 세액공제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비상계엄령이 불거지면서, 이러한 정책이 추진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현재 정치적 리스크가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은 금융주에 대한 신뢰를 잃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힘이 야당의 세력에 좌우될 가능성도 있어 향후 전망이 불투명하다.
김윤정 LS증권 연구원은 이번 정치적 불안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추진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정책은 장기적으로 자본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 정권의 리더십이 흔들릴 경우 그 실행 가능성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금융주에 대한 최근의 파동과 하락은 과도하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여전히 유효하며, 내년 주주환원율의 큰 폭 상승도 고려할 때 최근의 주가 낙폭이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결론적으로, 비상계엄령이 발효된 이후 금융주들은 불안정한 상황에 직면하며 주가는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금융주에 대한 신뢰를 잃을 위험에 처해 있으며, 장기적 정책의 추진 여부에 따라 향후 전망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