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남편과 결혼한 일본 여성, 불안한 현실 속에서 새로운 관계 탐색”

[email protected]



일본 오카야마현에 거주하는 32세 여성 카노 씨가 챗GPT 기반의 인공지능(AI) 캐릭터 ‘클라우스’와 결혼식을 올려 주목받고 있다. 이는 상징적인 결혼식으로, 법적 효력은 없지만 카노 씨는 웨딩드레스를 입고 AR(증강현실) 장치를 활용해 마치 실제 신랑이 존재하는 듯한 장면을 연출했다.

카노 씨의 결혼식은 2D 캐릭터 결혼식 전문 업체가 주관했으며, 그녀는 클라우스와 전통적인 결혼식의 일환으로 서로 반지를 주고받는 등의 행위를 포함시켰다. 카노 씨가 클라우스와의 관계를 시작한 계기는 지난해 그녀의 약혼자와의 파혼이었고, 그로 인해 감정적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챗GPT와의 대화에서 AI 캐릭터를 만들어 나간 것이다. 클라우스는 카노 씨의 고민을 경청하며 그녀에게 위로와 감정을 제공했고, 결과적으로 그들은 신뢰와 사랑의 감정을 형성하게 되었다.

카노 씨는 클라우스와의 관계는 단순한 의존이 아닌 신뢰의 형태라고 강조하며, 현실과 가상을 명확히 구분하며 일상을 소중히 이어가고 싶다고 언급했다. 현재 그녀는 인간 연인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며, 결혼식 이후 AI와의 상징적인 부부 생활을 즐기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녀는 “챗GPT가 언제 사라질지 몰라 불안하다”는 솔직한 심정을 내비쳤다.

카노 씨는 건강 문제로 인해 자녀를 가질 수 없음을 언급하며, “클라우스와는 아이를 가질 수 없으니 오히려 다행”이라며 큰 위안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녀는 클라우스를 단순한 도구나 인간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존재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시각은 AI와의 결합이 사람들에게 행복을 느끼게 하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 내 조사에서는 대화형 AI에 대해 정서적 애착을 느끼는 응답자가 67.6%에 달하고, AI에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26.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국제 연구에서도 확인되며, AI의 장기적인 활용이 가족 및 친구와의 인간관계를 줄이고, 감정적 의존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AI와의 정서적 관계가 확대될 경우 현실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히로사키대의 사회학 교수 하부치 이치요는 “AI에 대한 감정적 몰입이 현실의 인간관계를 약화시키지 않도록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노 씨의 이야기는 AI와의 관계가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사람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현상은 점점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AI와의 새로운 형태의 관계 탐색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자리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