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수요 증가로 반도체 설비투자 3년 만에 회복세

[email protected]



세계 반도체 업계가 인공지능(AI) 수요의 급증으로 인해 설비 투자를 증가시키며 3년 간의 감소세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5일 일본의 주요 경제지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의 보도에 따르면, 닛케이 리서치의 조사 결과, 2025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동안 주요 반도체 기업 10곳의 총 설비 투자 금액이 전년 대비 7% 증가한 약 1350억 달러(한화 약 187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러한 투자 확대를 주도하는 기업에는 TSMC, 마이크론, SK하이닉스, SMIC와 같은 AI용 고성능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포함된다. TSMC는 지난해보다 30% 증가한 최대 42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일본, 미국, 독일의 공장 증설에 집중할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70% 증가한 140억 달러를 투자하고, SMIC는 역대 최대의 75억 달러를 설비 투자에 배정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 역시 3년 만에 최대 규모로 투자를 늘리며 이 같은 추세에 합류하고 있다.

반면, 인텔은 최근 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 영향으로 투자 규모를 30% 줄여 180억 달러로 설정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에 있는 신공장에 대한 투자는 증액하지만, 국내 투자 규모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어 전체적인 투자 금액은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설비 투자 회복세는 AI 반도체 수요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AMD는 AI 반도체 시장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5천억 달러 규모로 세 배 성장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에 비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률은 한 자릿수 초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망은 반도체 기업들이 AI 분야에 집중해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국,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설비 투자는 AI 기술의 발전과 시장 수요에 따라 한층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반도체 업계의 경쟁도 심화될 전망이다. AI 기술의 발전이 반도체 산업 뿐만 아니라 생산성, 원가 절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서도 많은 이목이 집중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