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회의에서 K-푸드의 수출 확대에 나선 송미령 장관, 베트남 및 말레이시아와 협력 강화 논의

[email protected]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0일 인천에서 열린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배경으로, 베트남의 쩐 득탕 농업환경부 장관 직무대행과 말레이시아의 모하마드 빈 사부 농업식량안보부 장관과의 면담을 통해 한국의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두 장관과의 만남에서 송 장관은 한국의 농식품 교역상대국으로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들 국가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피력했다. 특히 베트남과의 교류에서 송 장관은 한국산 닭고기와 과일(키위 및 온주밀감 등)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협력을 요청하며, 양국의 농식품 기업 간의 교류 확대 가능성을 언급했다. 쩐 장관 직무대행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한국 기업의 베트남 농업 및 농촌 개발 분야 투자가 확대되기를 희망하는 뜻을 전달했다. 이에 송 장관은 현재 진행 중인 ODA 사업이 지체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또한, 말레이시아 사부 장관과의 대화에서는 양국 간의 농업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농업 및 식량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 강화를 제안하였다. 송 장관은 Malaysian에 대한 한국산 할랄 인증된 냉장 소고기 수출을 요청하여 양국 간의 교역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기를 바랐다. 그는 “베트남은 한국의 농식품 4위 수출국으로서의 중요한 파트너이며, 말레이시아는 할랄식품 산업의 선두주자로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면담을 통해 농식품 교역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에서는 장관 선언문이 채택되었으며, 이는 지난 7개월 간의 심도 깊은 논의 결과물로, 회원국들은 농식품 생산 및 유통 전 과정에서 혁신을 통해 공동으로 식량 안보 위협에 대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송 장관은 회의에서 기후 위기, 지역 분쟁, 공급망 충격 등 복합적인 위기가 농식품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상황을 극복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농식품 시스템의 전환적 접근을 가속화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회의는 매우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평가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