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RE, 2025년 1분기 한국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 7조원 이상 기록

[email protected]





올해 1분기 동안 한국의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가 7조원 이상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코리아는 2025년 1분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보고서를 통해, 투자 시장의 거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66%, 전 분기 대비 34% 증가한 7조553억원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서울 마곡 지역에서 대형 오피스 선매입 거래가 완료되고, 물류센터 자산에 대한 외국계 투자자들의 활발한 매입 활동이 이뤄짐에 따라 전체 자산 거래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1분기 오피스 거래 규모는 5조2010억원으로 전체 거래의 74%를 차지하며 안정적인 시장 흐름을 이어갔다.

오피스 거래 중 55%에 해당하는 2조8690억원은 마곡권역 내 원그로브와 르웨스트시티타워 A, B동의 선매입으로 이루어졌으며, 도심권역의 남산스퀘어, 크리스탈스퀘어, 정안빌딩 및 강남권역의 강남파이낸스플라자의 주요 거래가 오피스 거래의 약 23%에 해당하는 1조1948억원에 달해 오피스 투자 시장의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A급 오피스 시장의 공실률은 평균 2.6%로 기록되었으며, 강남권역의 공실률은 쿠팡, 토스, 비바리퍼블리카 등 IT 및 금융 관련 기업들의 수요 증가로 2.1%로 하락했다. 여의도권역의 경우 우리은행의 파크원 입주로 공실률이 3%까지 감소한 반면, 도심권역은 을지로 인근의 신규 자산 공급으로 공실률이 2.7%로 소폭 상승하였다.

이번 분기 동안 물류 거래 규모는 약 1조4478억원으로, 해외 자본이 전체 거래의 약 64%를 차지하며 외국계 투자자의 매입 활동이 두드러졌다. 캐나다계 브룩필드자산운용이 인천 S&K 복합물류센터를 약 2450억원에 인수했으며, 코람코자산신탁은 싱가포르투자청(GIC)과 함께 인천 항동 드림 물류센터를 약 2300억원에 인수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 수도권 A급 물류 시장의 공실률도 약 22%로 감소하며, 상온 및 저온 물류 자산의 공실률은 각각 16%와 40% 선으로 추정된다.

리테일 거래 규모는 약 2345억원으로, 중소형 자산 중심의 투자활동이 두드러졌고, 중국계 브랜드의 임대차 사례가 눈에 띄었다. CBRE코리아의 최수혜 리서치 총괄 상무는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오피스 선매입과 물류 자산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 유입에 따라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며 “앞으로도 외국계 투자자 중심의 밸류 애드 투자 및 코어플러스 펀드 투자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점이 불투명하다”며 “앞으로 오피스 및 물류 자산의 평균 수익률은 안정세를 유지하면서도 특정 자산에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