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인 시카고상업거래소(CME)가 출시한 XRP 선물이 단 3개월 만에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의 거래액을 기록하며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리플 CEO는 이 성과가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으며, XRP 생태계의 성숙도를 강조하고 있다.
갈링하우스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CME에서 XRP 선물이 이룬 성과는 XRP 생태계와 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전에 XRP 선물 상장 사실을 “리플과 XRP의 제도권 진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언급한 바 있으며, 이번 거래액 돌파는 리플의 전략이 적절하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평가됐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CME는 현재 비트겟(Bitget)과 바이낸스(Binance)에 이어 XRP 선물의 미결제약정 규모에서 3위에 위치하고 있다. CME가 기관 중심의 거래소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이는 XRP에 대한 기관의 실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중요한 방증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ETF 전문가 네이트 제라치(Nate Geraci)는 “비트코인(BTC) 및 이더리움(ETH) ETF와 마찬가지로, XRP 현물 ETF에 대한 수요는 종종 과소평가되고 있다”며 “규제가 승인된다면 XRP ETF도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모든 의견이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일부 분석가들은 XRP 현물 ETF가 출시되면 오히려 기관 수요의 한계를 드러내고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현재 XRP는 2.82달러(약 3,919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전보다 1.6% 하락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좋은 뉴스가 나왔지만 여전히 가격이 정체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시장 상황과는 별개로 리플 측은 XRP 생태계의 지속적인 확장 및 제도권 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XRP 보유자들은 하반기 중 예상되는 XRP 현물 ETF 승인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향후 XRP의 가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