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이후 암호화폐 시장이 급변하며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트코인(BTC)은 CPI 발표 직후 일시적으로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를 넘었으나, 판매 압력에 의해 하락해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아래로 밀려났다. 하지만 이번 주 초 들어 반등이 시작되며 다시 11만 2,000달러를 향해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화요일에는 하루 만에 6,500달러(약 904만 원)이 상승하며 일시적으로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까지 오르는 등 강력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비트코인의 시장 시가총액은 2조 2,300억 달러(약 3,099조 원)에 달하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58%로 유지되고 있다. 주말을 지나면서 투자자들은 안정을 찾고 있으며, CPI 수치의 긍정적인 결과에 따라 시장 전체가 완만한 회복세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여전히 변동성에 민감한 시장 조건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알트코인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움직임이 포착됐다. 특히 크로노스(CRO)의 경우, 하루 상승률이 5%에 이르며 존재감을 더했다. 리플(XRP), 제트캐시(ZEC), 비트코인캐시(BCH) 등의 다른 주요 알트코인도 3.5%에서 5.3% 사이의 상승폭을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갔다. 그 중에서도 CRO는 강력한 매수세를 나타내면서 단기적인 상승 기대감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트론(TRX)은 반대로 5% 이상 하락하여 0.30달러(약 417원)선 아래로 밀려났다. 이더리움(ETH)과 바이낸스코인(BNB)은 뚜렷한 상승세를 보여주지 못하고 여전히 소폭의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솔라나(SOL), 에이다(ADA), 도지코인(DOGE), 체인링크(LINK) 등은 제한적인 변동성을 보이며 소규모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약 3조 8,500억 달러(약 5,352조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리 인상 우려가 한풀 꺾이고 미국 CPI 수치가 예상보다 낮게 발표됨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자들은 향후 완만한 회복세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변동성 속에서 신중한 투자 판단이 필요하다. 암호화폐 시장이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지, 아니면 다시 위축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