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창립자 창펑 자오(CZ)가 최근 상장 수수료에 대한 비판에 반박하며 강력한 프로젝트는 수수료 없이도 자동으로 상장된다고 밝혔다. 그는 바이낸스의 상장 모델이 기업의 역량과 시장 자율성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코인베이스의 수석 개발자 제시 폴락이 바이낸스의 상장 모델이 과도한 비용을 사용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상장 수수료를 제로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코인베이스가 프로젝트를 돕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호소하며 자신들의 방식을 방어했다. 그러나 CZ는 자신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프로젝트가 상장료나 에어드롭에 불만을 제기한다면, 애초에 그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직격했다.
CZ는 “진정한 강력한 프로젝트라면 거래소들이 자발적으로 상장하려고 경쟁할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하며 바이낸스의 실수요 기반 상장 원칙을 다시금 강조했다. 여기서 수수료를 지불하며 상장을 애원하는 상황은 프로젝트 자체의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경쟁 거래소들이 상장 모델을 비판하기보다는 스스로 수수료를 0으로 설정하고 그에 맞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실질적인 경쟁이라고 주장했다. CZ는 “모든 수수료를 없애고 그 결과에 만족하라”는 도발적인 메시지를 던지며 다른 거래소들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상장 정책에 있어서 안전성 및 선택 기준에 대한 CZ의 입장도 주목할 만하다. 그는 일부 거래소가 상장 수수료 및 에어드롭, 보증금을 요구하는 것은 사용자 보호 및 검증된 프로젝트 선별을 위한 선택지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특히 신생 프로젝트 중에서는 사기성 프로젝트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무조건적인 개방보다는 선별된 필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CZ는 팬케익스왑(CAKE)의 사례를 들며 수수료 없이도 의미 있는 거래량을 유지하는 플랫폼이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탈중앙화 시장에서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공존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예시이다.
이번 CZ의 발언은 경쟁사들의 공개 비판에 대응하면서 자신의 사업 철학을 명확히 하고, 프로젝트들에게 책임을 요구하는 일종의 업계 서사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국 거래소가 어떤 모델을 선택하든 핵심적인 메시지는 거래 이용자의 신뢰와 프로젝트의 실질적 가치라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