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SP, 반도체 장비업체 매각 후보로 MBK파트너스 등 5곳 압축

[email protected]





반도체 전공정 장비 제조업체인 HPSP의 인수 후보가 MBK파트너스를 포함한 다섯 곳으로 압축됐다. HPSP의 대주주인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와 매각 주관사인 UBS는 최근 예비입찰을 실시해 인수 적격 후보 목록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측은 향후 두 달간 실사 과정을 거쳐 올해 4월 중 본입찰에 들어갈 계획이다. MBK파트너스 등 원매자는 실사 후 본입찰 참여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현재 매각 대상은 크레센도가 보유하는 HPSP의 지분 40.9%로, HPSP는 현재 코스닥 시가총액 15위 기업으로 등록되어 있다. 4일 기준 HPSP의 종가에 따른 시가총액은 약 2조4340억원에 달하며, 단순 계산에 따르면 크레센도가 보유한 지분의 가치는 약 1조원에 이른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이 추가될 경우, 매각가는 1조원 중반대에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HPSP는 반도체 공정에 필수적인 열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어닐링 장비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회사로, 특히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는 표면 결함을 비활성화하는 장비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HPSP의 고객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TSMC 등 국내외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다.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HPSP는 매출 1147억원, 영업이익 581억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은 50.6%에 달하는 등 높은 수익성을 자랑하고 있다. 독점 기술과 높은 기술 장벽으로 인해 HPSP는 매우 유망한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HPSP를 네덜란드의 ASML에 비유하여 ‘한국판 ASML’로 언급하기도 한다.

HPSP에 대한 입찰 전 단계에서는 MBK파트너스 외에도 글로벌 전략적 투자자(SI)와 재무적 투자자(FI)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HPSP는 한국의 반도체 공급망과 연결돼 있어 글로벌 사업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더욱이 HPSP의 실적이 우상향하고 있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HPSP는 2019년에 매출 251억원을 기록했으나, 불과 4년 만에 매출이 5배 이상 성장하게 됐다.

크레센도는 2017년에 약 100억원을 투자하여 HPSP의 경영권을 인수한 뒤, 2022년에는 HPSP를 상장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만약 HPSP의 40.9% 지분을 수천억원 단위로 매각하게 된다면, 크레센도는 약 100배의 차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 사모펀드 업계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규모의 차익이 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