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디지털 자산 GDP 통계에 비트코인 포함 선언…경제 측정 기준의 변화

[email protected]



국제통화기금(IMF)은 디지털 자산의 경제적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BTC)을 공식 경제 통계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암호화폐가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반면, 기존 경제 측정 기준에서는 여전히 ‘장부 외(off the books)’ 항목으로 분류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IMF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2025년에 적용될 국제 통계 기준인 2025 국가계정체계(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25 SNA)를 통해 디지털 경제와 데이터 기술을 반영한 경제 측정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지침은 유엔 통계위원회와 IMF 등 다양한 국제 기관의 협력으로 올해 초 승인되었다.

특히 이번 업데이트는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국내총생산(GDP) 통계에 포함된 점이 주목된다. 2008년에 수립된 이전 기준 당시에는 비트코인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실물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지 않는 자산은 경제 활동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비트코인 채굴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아르헨티나 전체 전력 소비량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암호화폐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IMF는 이러한 비재화 기반 신흥 기술이 새로운 형태의 경제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암호화폐와 함께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디지털 전환 기술을 정식 통계 범주에 포함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번 개정안은 향후 몇 년간 각국의 통계 시스템에 점진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며, 2030년 이전까지 전면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조치는 규제와 통계에서 어느 정도 소외되어 있던 암호화폐 시장이 글로벌 경제 분석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 것이라는 점에서 중대한 변화로 평가된다. IMF는 각국 정부가 새로운 기준을 신속히 적용할 것을 촉구하며, 공식 경제 데이터에 디지털 자산이 포함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디지털 자산의 실질적 가치를 경제 지표에 반영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