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투자증권은 13일 JYP 엔터테인먼트(JYP Ent.)의 3분기 실적에 대해 ‘어닝 쇼크’를 발표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10만5000원에서 10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신보 발매 횟수의 증가와 더불어 신인 그룹의 데뷔로 예상보다 높은 제작비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다만, 투자의견은 여전히 ‘매수’를 유지하고 있다.
JYP Ent.의 올해 3분기 연결 매출액은 23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408억원으로 16% 감소하여 시장의 예상을 크게 밑돌았다. 이는 세 팀의 신인 데뷔 비용과 두 팀의 고연차 활동 집중으로 인한 제작비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특히, 앨범 발매량 증가가 콘텐츠 제작비 확대를 초래하며 이러한 영향을 뚜렷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저평가 장기화에 대한 우려 속에서 저연차 라인업의 성장은 긍정적인 신호로 분석된다. 엔믹스는 서구권을 포함한 월드투어를 예정하고 있으며, 킥플립은 든든한 팬층을 구축하고 있어 이们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JYP는 중국 본토에서 팝업스토어 개설을 예고하고 있어, 이는 굿즈(MD) 로열티 매출의 증가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시장에서 우려하는 고연차 라인업의 재계약에 따른 배분율 변경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단위 매출의 확대가 규모의 경제 효과를 이루며 대부분 상쇄된다는 게 분석가의 설명이다. 3분기 실적에서 나타난 높은 매출원가율은 주로 국내 프로모션 활동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된다. K팝 산업에서는 신보 발매 이후에 진행되는 국내 프로모션이 필수적이며, 이는 팬덤 유입 및 이탈 방지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중장기적인 투자성 비용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신곡 제작 및 국내 오프라인 이벤트 관련 제작비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흐름이 반영되어 실적 추정치를 조정했다”며, “단기 실적이 아쉽지만 아티스트의 전반적인 성과 개선을 위한 노력에 따른 성장통이 임박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JYP Ent.의 미래 성장은 이러한 일련의 투자결정 및 전략적 추진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 이는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 및 팬덤의 지속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