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디지털 자산 시장의 발전이 갈수록 늦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두나무에서 주최한 ‘D-CON 2025’ 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금융 패권 전쟁에서 한국이 뒤처질 것이라는 경고가 있었다. 행사에서는 여야의 의원들과 학계 전문가들이 모여 디지털 자산을 단순한 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특히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디지털 자산이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를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자산이 금융의 구조를 혁신할 것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스테이블코인과 실물자산의 토큰화가 한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투자자 보호’라는 명분 아래 규제에 묶여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에서 뒤처질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KAIST의 류혁선 교수는 현재 한국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큰 문제는 개인 투자자 위주로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한 이후 기관자금이 대거 유입되면서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반면, 한국은 법인과 외국인의 진입이 제한되어 유동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법인과 외국인의 거래를 전면 허용하고, 비트코인 현물 ETF 및 파생상품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행사에는 여야 3당의 의원들이 참석해 초당적인 입법 논의를 진행했다. 김재섭 의원은 “디지털 자산은 창업과 금융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표준”이라고 말하며 산업 진흥을 위한 법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젊은 세대가 경제적 기회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반적으로, 한국의 디지털 금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규제 중심에서 산업 육성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번 D-CON 2025는 디지털자산 정책이 성장 추구로 변모할 수 있는 중요한 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행사에는 업계 관계자와 투자자 400여 명이 참석해, 한국 디지털 자산 시장의 미래에 대한 높은 관심을 실증했다.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24시간 운영가능한 구조로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날 회의의 중심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