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자산운용이 25일 국내 최초로 AI 클라우드 인프라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RISE 미국AI클라우드인프라 ETF’를 상장했다. 이 ETF는 AI 전용으로 개발된 차세대 클라우드 환경, 즉 네오클라우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연산 환경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 ETF는 AI 데이터센터 및 네오클라우드 관련 10개 주요 종목에 전략적으로 투자하여 AI 서비스 사용량 증가에 대응하고 있다. 기존의 글로벌 클라우드 및 AI 관련 ETF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및 서비스형 플랫폼(PaaS)에 폭넓게 투자했던 것과 달리, ‘RISE 미국AI클라우드인프라 ETF’는 AI 핵심 인프라 종목에 집중해 차별화된 투자 전략을 펼친다.
ETF의 기초 지수는 ‘Akros 미국 AI클라우드인프라 지수’로, 이 지수는 글로벌 클라우드 산업에서 시가총액 상위 5개 종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네오클라우드 4개와 AI 인프라 6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ETF에 포함된 주요 종목은 네비우스(20.07%), 코어위브(13.46%), 어플라이드 디지털(9.92%), 버티브 홀딩스(9.86%), 마벨 테크놀로지(9.71%), 오라클(6.98%) 등이다.
향후 AI 모델의 대형화, 물리적 AI 확산,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 등으로 고성능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는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의 70%가 AI에 사용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의 ETF 상품 마케팅 본부장 육동휘는 “기존 AI 반도체와 전력 등의 테마가 공급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면, ‘RISE 미국AI클라우드인프라 ETF’는 AI 서비스 사용량 증가라는 수요 변화에 직접 대응하는 상품”이라며 “AI 투자자들에게는 혁신적인 클라우드 인프라로 투자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전략은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이번 ETF의 출시는 한국 금융시장과 투자자들에게 AI 기술과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라는 두 가지 트렌드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시하며, 향후 금융 및 기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