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헬스케어 테크 기업 KindlyMD가 나카모토홀딩스와의 합병을 마무리한 이후 최대 50억 달러(약 6조 9,500억 원)의 자금 조달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시장에서의 증자 프로그램(ATM)’을 공식 신고하고, 자사 보통주를 발행하여 자금을 유치할 방침이다. 이번 자금 조달은 비트코인(BTC) 재무 전략을 본격적으로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기업 측은 강조했다.
KindlyMD는 최근 합병 직후 5,744 BTC를 매입한 바 있으며, 이번 증자 자금은 추가적인 비트코인 확보는 물론 운전자본 확충, 기술 인수, 설비 투자, 신규 사업 프로젝트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데이비드 베일리 CEO는 “이번 ATM 프로그램 도입은 당사의 장기 자본 전략에서 중대한 전환점”이라고 설명하며,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주주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한 유연한 재무 툴로 활용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는 합병 이후 비트코인 매입을 단행한 만큼, 이번 증자가 자연스러운 성장 단계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KindlyMD의 주가는 자금 조달 발표 당일 12% 하락해 8.07달러(약 1만 1,223원)로 마감했으며, 장 전 거래에서도 2.11% 떨어져 7.90달러(약 1만 976원)에 거래되었다. 초기 장은 9.5달러(약 1만 3,205원)까지 올랐으나 이후 하락세로 전환되며 큰 폭의 급락을 경험하였다.
KindlyMD의 비트코인 중심 전략은 올해 BTC 매집 트렌드와 궤를 같이한다. 현재 비트코인 트레저리 데이터에 따르면 KindlyMD는 세믈러 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및 게임스탑(GameStop)보다 더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달 초 거래소 및 채권 발행을 통해 비트코인 수량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힌 이후, 적극적으로 포지션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비트코인 가격이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근방에서 7%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커뮤니티에서는 시장 침체 국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기업의 행보를 평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KindlyMD의 대규모 자금 조달과 비트코인 투자 전략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 메타플래닛 등 기존 비트코인 투자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입지를 다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으로 비트코인 가격 흐름과 함께 이들 전략이 어떤 성과를 거두게 될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