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소액결제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해킹 사건이 발생하여 피해 금액이 약 8천6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사건은 임의의 통신 신호를 가로채는 방식으로 발생했으며, 이는 소비자들 사이에 큰 불안감을 야기하고 있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8월 27일부터 9월 9일까지 경기남부에서 124건의 피해 사례가 발생했으며, 피해자들은 결제 차단 설정에 대한 대응이 늦어지면서 금전적 손실을 입었다.
해킹 수법은 불법적으로 설치된 초소형 기지국을 이용해 정상적인 데이터 트래픽을 가로채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기지국은 차량에 탑재할 수 있어, 피해 지역과 타깃의 범위가 더 확대될 우려도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피해 예방에 관한 정보를 빠르게 교환하고 있으며, 소액결제의 한도를 조정하는 한편, ‘소액결제 원천 차단’ 서비스를 신청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KT는 오는 9월 17일부터 온라인으로 소액결제 원천 차단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다만, 이 차단은 추후에 결제 기능을 다시 활성화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미 등록된 자동결제 서비스가 있는 경우엔 사전에 다른 결제 방법으로 변경하지 않으면 갑작스러운 서비스 이용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는 소액결제 기능을 포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결제 내역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결제 시 별도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생체 인증을 활용하는 방법이 그 예이다. 하지만 주목할 점은, ARS 인증을 이미 거친 피해자들 중에도 해킹이 이루어졌다는 사실로, 기존 보안 시스템만으로는 충분한 방어가 어려운 상황임을 알리고 있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이번 사건을 악용한 문자 피싱(스미싱) 공격에 대한 경고도 발효했다. ‘환불’이나 ‘보상’을 핑계로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사칭 문자나 전화에 승인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행위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개인정보 유출과 재정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경로만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고, 출처 불명의 링크 클릭을 지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개인 사용자의 보안 인식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는 지금, 소비자 스스로가 해킹에 대한 최종 방어선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이번 해킹 사건은 단순한 기술적 해킹을 넘어 소비자 금융 환경에서의 사각지대를 드러낸 사례로, 향후 정부와 통신사 차원에서 관련 제도와 보안 시스템을 개선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디지털 금융 범죄가 점점 더 정교해지는 만큼, 소비자들 역시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