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김병주, 홈플러스 사태에 사재 출연…논란 지속될 듯

[email protected]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수백억 원 규모의 사재를 출연한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가 조달한 600억 원에 대해 보증을 서기로 하여, 지원 총액은 1000억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권과 채권단에서는 김 회장이 1조 원 이상의 대규모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어, 그의 사재 출연 규모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김 회장은 홈플러스에 사재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금은 홈플러스의 물품 대금을 받지 못한 소상공인들에게 지급되고 있으며, 규모는 수백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로, 홈플러스는 DIP(Debtor In Possession) 파이낸싱을 통해 600억 원을 조달하기로 했고, 이 파이낸싱은 구조조정 전문 사모펀드 큐리어스파트너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홈플러스는 이번 대출을 만기 3년, 금리 10%로 받으며, 김 회장의 보증이 수반되어 가능했다.

MBK파트너스 측은 김 회장이 사재 출연 후 소상공인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금을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피해자 구제를 위한 여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김 회장의 사재 출연 규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김 회장이 최소 1조 원을 투자하고 2조 원의 사재를 출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2조 원의 사재 출연을 촉구하고 있다.

더불어, 홈플러스의 유동화 전단채에 투자했던 개인 및 법인 피해자들은 900억 원 규모의 손실을 보았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1억 원에서 3억 원을 투자한 투자자들이다. 이들은 피해 구제 방안이 제시되지 않을 경우 집단 고소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소상공인들과 마찬가지로 전단채 투자자들도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고 비판하며, MBK 측의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 김 회장의 출연금이 소상공인들의 자금 변제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ABSTB 투자자들의 피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시장에서는 이번 사태를 LIG CP 사기 사건과 유사하게 보고 있으며, 김 회장이 법적 책임을 지게 될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다. 김 회장의 DIP 파이낸싱 보증과 관련해서도, 일반적으로 공익채권으로 분류될 경우 최우선 변제대상이 되어 김 회장이 대신 갚아줄 가능성은 낮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김병주 회장의 사재출연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는 비판 속에서 계속해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