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 FAANG 대신 PARC에 주목…미국 주식 투자 급증”

[email protected]



미국 주식시장에서 2030 세대, 즉 MZ 세대가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종목이 기존의 빅테크 기업들보다 새로운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들로 바뀌고 있다. 그 중심에는 팰런티어, 앱러빈, 로빈후드, 코인베이스를 합쳐 만든 약어 ‘PARC’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MZ 세대가 안정성보다 성장성을 중시하는 투자 스타일을 반영하고 있다.

전통적인 월가의 투자자들은 페이스북(현재 메타플랫폼),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로 이루어진 ‘FAANG’ 포트폴리오를 선호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한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이익을 발생시키는 FAANG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은 반면, MZ 세대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PARC와 같은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MZ 세대는 단기적인 실적보다 혁신성과 시장 선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만으로도 투자 결정을 내린다.

올해 들어, PARC에 속한 기업의 주가는 S&P 500 지수를 초과하는 성장을 보여 MZ 세대의 투자 패턴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로빈후드와 팰런티어는 주가가 2배 이상 급등하며 그 인기를 증명했다. 현재 서학개미들, 즉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한국의 MZ 세대 투자자들은 PARC에 대규모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 이들은 국내 시장에 있던 ‘MZ 세대 선호 주식’의 부재와 은행 및 증권주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때문이라 보고 있다.

특히, 코인베이스와 로빈후드는 MZ 세대 투자자들에게 딱 맞는 투자 플랫폼으로 여겨지며,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선호도 덕분에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 대한 강한 지지를 받고 있다. 미국에서의 암호화폐 투자자 중 70%가 MZ 세대라는 점은 이러한 추세를 잘 보여준다.

MZ 세대는 기술과 혁신이 결합된 기업에 대한 투자에 대해 긍정적이고, 이러한 경향은 ARK Innovation ETF(ARKK)의 인기를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ARKK는 PARC에 속한 네 종목을 포함하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리스크 분산의 효과를 제공하지만 각 종목 모두 고평가된 상황이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조언이 따른다.

이처럼, MZ 세대는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PARC와 같은 새로운 투자 트렌드를 통해 기존 빅테크의 지배를 넘어설 의지가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향후 투자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성과를 안길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