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2분기 동안 더 샌드박스(The Sandbox)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NFT 생태계의 재도약 가능성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메사리 리서치(Messari Research)에 따르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중심의 디지털 자산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든 상황에서도 메타버스 기반의 소셜 게이밍 플랫폼인 더 샌드박스는 여러 활동 지표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전체 NFT 거래 중 비 랜드(Non-LAND) 자산의 2차 판매 시장에서 거래 금액이 11만7,726달러에 이르며, 전기 대비 52.1%의 증가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일일 활성 비 랜드 구매자 수가 78.2% 급증하여 264.7명에 달하면서, 사용자의 참여가 플랫폼 성장의 핵심 동력임을 입증하고 있다. 메사리 리서치의 에반 자커리(Evan Zakhary)는 ‘쥬라기 월드’를 테마로 한 알파 시즌 5의 출시에 힘입어 자산 거래가 활발해졌다고 분석했다.
거래량에서도 순조로운 흐름이 이어졌다. 전체 2차 시장 거래량은 1분기 대비 10.9% 증가하여 85만971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시장 전반의 침체 가운데에서도 더 샌드박스에 대한 꾸준한 수요를 나타내고 있다. 랜드 자산의 거래금액은 73만3,245달러로 전체 거래의 약 86%를 차지했지만, 이는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로 평가된다. 반면 비 랜드 자산의 거래 금액은 작년 같은 분기와 비교해 크게 증가하며 생태계 다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SAND 토큰의 시장 가격은 여전히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2분기 말 기준 SAND 토큰은 0.28달러로, 1분기의 0.42달러 대비 33.1% 하락했다. 하지만 알파 시즌의 참여율 증가와 어드벤처월드 랜드 세일 같은 사용자 유입 이벤트들이 진행되면서 토큰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커뮤니티 열기는 이어졌다. 실제로 알파 시즌 5에는 신규와 복귀 유저가 포함되어 높은 유지율을 기록하였고, 쥬라기 월드 테마의 다이노소어 에그 NFT의 수집 및 활용 기능이 사용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더 샌드박스의 독립 브랜드와 유명 IP, NFT 활용 가능 자산 등의 생태계 다양성 또한 플랫폼의 차별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SAND, LAND를 중심으로 ASSET, AVATARS, CATALYST 등 다양한 자산이 거래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Web3 경제 구조 내에서 사용자 참여 기반의 거래 가능성과 수익화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스테이킹 지표는 다소 악화된 모습을 보였다. 2분기 말까지 유통 SAND의 0.52%인 4,210만 SAND가 스테이킹되어 1분기의 0.76%에서 줄어들었다. 비 랜드 자산 보유자의 스테이킹 풀이 전체의 60.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연한 접근성과 리스크 회피 성향을 반영한다. 더 샌드박스는 6월 말에 스테이킹 프로그램을 공식 종료하고 잔여 자금 조정을 진행하는 한편, 구조적인 변화에 나섰다.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 활동 속에서도 새로운 거버넌스 방향성이 나타났다. SIP-25 제안을 통해 설계된 더 샌드박스 DAO 그랜트 프로그램(SDGP)은 생태계 창작자와 커뮤니티 빌더를 위한 자금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임팩트 게임 잼 우승 팀과 함께하는 라이브 이벤트 개최를 목표로 한 SIP-29 제안은 창작자 중심의 이니셔티브가 실질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