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상승 속도가 역사적인 주기와 비교했을 때 지나치게 느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OG 고래’로 불리는 초기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주효하다고 전문가들이 진단하고 있다. 온체인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는 OG 고래들이 막대한 수익을 실현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의 매수 흡수력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우에 따르면, 2011년부터 비트코인을 보유해온 고래들의 지갑에는 여전히 상당한 양의 BTC가 저장되어 있다. 이들은 당초 개당 10달러(약 1만 3,900원) 이하의 가격에 비트코인을 매수했으며, 현재 이들은 무려 10,000배에 달하는 이익을 보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소지하고 있는 물량이 시장에 방출될 경우, 이를 가격 하락 없이 소화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 당 최소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의 신규 자금이 유입되어야 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초기 보유자들이 매도하는 속도와 공급량, 그리고 낮은 매입 가격이 비트코인의 상승을 저지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우의 설명이다. 그는 “시장은 이들의 매물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성장통을 현재 겪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 고래의 포트폴리오 변화가 주목받고 있다.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최근 7년 동안 침묵을 지켜온 한 OG 고래가 2016년경 수령한 100,784 BTC를 이동시켰으며, 이는 당시 약 6억 4,200만 달러 규모였으나 현재는 약 114억 달러(약 15조 8,460억 원)에 달한다. 이 고래는 최근 5일 동안 하이퍼리퀴드 거래소에 22,769 BTC(약 2조 8,660억 원)를 예치하여 현금화한 후, 이 자도록 472,920 ETH(약 3조 877억 원)를 매수했다. 또한, 135,265 ETH(약 8,034억 원) 규모의 레버리지 롱 포지션을 개설하며 이더리움(ETH)에 대한 강한 상승 베팅에 나섰다. 이는 분명히 비트코인에서 수익 실현 후 포지션을 이동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고래들의 매도세와 자금 유출은 비트코인 가격의 급락과 반등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주말에는 거래 유동성 약화로 인해 더욱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 보고서에 따르면, 주말 동안 현물 및 파생상품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 조작에 취약해지고, 이는 고래들이 스탑로스(손절매)를 유도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SOPR(Supply Output Profit Ratio) 지표에서도 단기 보유자들이 이익 실현을 위해 매도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시장 평균 매수가 보다 높은 수준에 있는 투자자들이 작은 가격 상승에도 매도에 나선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이번 사이클에서 비트코인의 완만한 상승 곡선은 단순한 수요 부족이나 관심 저하가 아닌,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고래들의 행동에 기인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비트코인이 본격적인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일단 이들의 매도를 충분히 흡수해야 할 것이다.